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업시 초기자본을 획득 할 수 있는 세가지 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4. 1. 16. 13:48

    사업시작에서 초기자본을 얻는 방법은 가장 크게 세가지로 나뉠 수 있다.

    1) 정부지원사업

    2) 투자유치

    3) 대출

     

    1. 정부지원사업

     

    2,3번에 비해 가장 큰 장점은 상환 의무가 없다는 것.

    갚을 의무가 없다는 점이다.

     

    생각보다 많은 정부지원사업이 있는데, 나에게 적용해볼만 하면서 규모가 큰 것은

    예비창업패키지, 청년사관학교 예비창업자 모집 정도가 되겠다.

     

    창업중심대학 예비창업자 모집 공고

    접수기간 2024-01-22 ~ 2024-02-01 16:00

     

    예비창업패키지 (아직 공고 안뜸)

     

    체크하면 좋을 사이트

    1. https://www.k-startup.go.kr/

    2. https://www.beginmate.com/biz

    3. https://www.semas.or.kr/web/SUP01/SUP0103/SUP010301.kmdc

     

    지원사업 〉 소상공인정책자금 〉 정책자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자금, O2O지원사업, 소상공인마당,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정책자금, 소상공인지원, 전통시장, 소상공인지원센터, 소상공인

    www.semas.or.kr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려면 

    1) IT기술, AI, IoT등 기술적인 요소가 포함되어있어야한다.

    적어도 website / 어플 정도... 하지만 이정도로는 어렵다.

    딥러닝, ai 유리.

     

    2) 또한 자영업수준이 아닌, 확장되어서 가치가 확산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 두가지가 충족이 된다면, 정부지원사업이 가능하다.

     

    몇가지 예시를 들어보자면 

    유학컨설팅 사례는 정부지원사업이 될 수 있을까?

    기술적요소도, 확장이나 확산의 요소도 없다.

     

    하지만 변형해서 하는 건 가능하다.

    유학정보공유 앱서비스 -> 정보공유는 확장, 앱서비스는 기술, 수익모델은 유료 컨설팅

     

    요식업에도 테크를 적용할 수 있다.

    고피자의 사례 -> 피자를 만드는 프로세스기계 개발

     

    선정확률을 높이는 방법

    1) 팀원들의 스펙이 좋은가? 학벌.. -> 내가 안좋으면 팀원이 좋아도 됨

    2) 대기업 경험 / 스타트업 경험이 있는가?

    3) 비즈니스 모델에서 확실한 차별점이 있는가?

    4) 타 경쟁사대비 진입장벽이 높은가?

    이것에 대해서는 항상 질문이 들어오디면, 정답이 없다. 물어보는 사람도 정답이 없다는걸 알면서 질문한다.

    답 -> 특허/시장선점을 빠르게 하겠다/팀원이 압도적인 기술력이 있다. 이렇게 세가지를 말하면 된다.

    5) 글로벌 확장 가능성 -> 소설을 좀 쓰는게 중요하다.

     

    스타트업 / 사업 / 장사(자영업)

    이 세가지 영역에서 스타트업느낌으로 가야 정부지원사업을 받을 수 있다.

     

     

     

    2. 투자유치

    투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VC(벤처캐피탈) - 1억원 이상 투자

    엑셀러레이터 - 초기창업자에게 (3000만원~1억원)투자후 10% 지분받는게 일반적. 컨설팅 및 도움을 줌

     

    VC와 엑셀러레이터의 경계는 모호하다.

    하지만 공통적인것은 투자를 한 만큼 지분(주식)을 가져간다는 것.

     

    투자의 목표는 단 하나.

    투자 후 4~5년 뒤 EXIT하는 것 (투자금 회수)

    인수합병(M&A)나 상장(IPO)을 하면 EXIT할 수 있다.

     

    https://platum.kr/archives/169581

     

    [투자人사이트] “고객으로 VC 이해하기”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할 때 알아야 할 것

     

    platum.kr

     

    초기투자(seed)

    1) 상위대학 출신인가?

    2) 대기업 혹은 규모가 큰 스타트업 출신인가?

    3) 창업경험이 있는가? 성공 , 실패사례도 중요

    4) 진행 사업과 fit한 사람인가?

    5) 아이템의 시장성이 충분한가?

    -> 아이템 시장성에서 수백억, 수천억대 매출이 가능해야 seed투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series A 이상부터는 매출 / 기술장벽 / 시장독점이 중요하다.

    1) seed 투자로 매출을 얼마나 냈는가?

    2) 타 업체에서 따라오기 힘든가?

    3) 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가?

     

    투자를 받는 것은 좋은 초기자본확보방법은 아닐 수도 있다.

    창업자 입장에서는 투자를 받지 않고 사업하는게 제일 좋다.

    투자를 받는다는건 '대가'를 준다는 것.

    의사결정에 제약이 따른다.

    그리고 엑싯전까지는 월급쟁이 구조가 대부분이다.

     

    스타트업을 한다는건, 창업형인간이 됐을 때, 자아실현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3. 대출

    가장 현실적이다. 또한 좋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매출이 이미 나오고있고, 매출을 극대화시킬수 있다면 대출을 받는건 빚이 아닌 좋은 옵션이다.

    지분을 줄 필요도 없기 때문

     

    특히 자영업자, 소상공인 대출은 1-2%대 이자율의 대출상품이 많다. 오히려 받는게 좋을지도!

    매출에 따라 연대보증없는 대출도 있음.

     

    하지만 리스크가 없는 창업을 하는게 우리의 목표이기 때문에

    투자나 대출은 창업형 인간이 됐을때 하는 것이 좋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